11월, 2020의 게시물 표시

국민강사 김미경이 알려주는 언택트 시대를 살아가는 법

언택트 시대의 관점과 성장 국민강사 김미경 예를 들어, 창업자는 어떤 관점을 가져야 할까요. 고객의 관점, 무자본의 관점, 건설적인 관점. 무엇이 정답일까. 가장 적절한 답은 모든 산업군과 범주를 아우를 수 있는 360도의 관점입니다. 거기에 추락의 순간을 비행으로 바꿀 수 있는 상상력과 실행력이 수반되어야 하고요. 위드 코로나 시대에 우리가 지향해야 할 포지션인 인디펜던트 워커도 이와 같은 안목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진부한 이야기지만, 어느 시대건 개인의 노력이 최우선이어야 합니다. 사회를 좋은 방향으로 변화시키며 세상을 바꾸는 첫걸음에 누가 있는지 보면, 결국 누군가의 아들 딸인 평범한 개인들이잖아요. | 드림워커에서 국민강사로 매체를 통해 소개되는 국민강사라는 호칭, 마음에 드는 별명인가요? 제가 그런 호칭을 받아도 될까요? (웃음) 감사한 별명이죠. 한쪽에 치우치지 않은 강사로 많은 분들에게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의미잖아요. 다른 사람들보다 미리 경험하고 알려주는 것을 업으로 삼는 강사라는 직업을 가진 사람에게 주어질 수 있는 최고의 호칭이 아닐까요. 매 순간 열정적으로 살 수 있는 비결이 궁금합니다. 때로는 지치고 피곤해서 쉬고 싶은 날도 있잖습니까. 우리의 과거와 미래는 연결되어 있습니다. 어느 날 뚝 떨어진 오늘이 아닌, 어제의 연장선상이 오늘이라는 거죠. 아인슈타인이 시간과 공간은 우리의 오감으로 만든 것이라 하지 않았나요. 결국 나의 일분, 하루, 인생 전체는 우주의 개념으로 보면 하나의 물성을 갖고 있다는 거예요. 보통 오늘의 나는 어제 하던 일들을 이어서 하고 있어요. 그래서 만약 변화가 필요하다면 지금 당장 터닝 포인트를 실행으로 옮겨야 오늘의 변화를 내일도 이어가겠죠. 물론 저도 지칠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해야 할 일의 80%를 어제 해두었기에, 오늘 내가 지쳐있어도 나머지 20%를 힘들게 해내며 다음 스텝을 준비하는 거예요. 김미경, 어떻게 되나 보자. 육체를 가지고 태어난 한 인간이 얼마나 괜찮은 사람으로 이름을 남기고 죽는지 나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