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020의 게시물 표시

김문정 음악감독

김문정 음악감독의 표정과 몸짓 뮤지컬은 관람자에게 상상력과 집중력을 요구한다. 이는 무대라는 한정된 규모의 공간을 지중해로, 브로드웨이로, 1600년대의 파리로 이동하거나 확장시키며 시공간을 넘나드는 힘의 움직임에 동참하고 지금 내 눈앞에 펼쳐짐으로써 결코 지루할 틈을 주지 않는 생생한 현장감각에 동화되기 위한 관객으로서의 역할이기도 하다. 녹음된 음원을 듣거나 영상을 볼 때와는 달리 배우들의 컨디션과 객석의 호응에 따라 분위기가 좌우되는 뮤지컬 현장은 시간여행을 통해 과거나 미래로 가지 않는 한 오로지 ‘지금 여기’ 에만 존재한다. 온전한 진실의 살아있는 순간이 내 앞에서 펼쳐지기에, 전장에서 피어나는 붉은 꽃처럼 강한 존재감을 드러내는 배우의 몸짓과 노래가 매체나 스크린 바깥 나의 실제 경험세계에 있기에, 먹고 마시는 것을 공복을 채우는 알약만으로 대체할 수 없듯 뮤지컬을 관람하는 행위는 결코 언택트 공연만으로는 대체될 수 없다. 살아있기에 느낄 수 있는 무대와 객석 간의 단단한 교감, 그 공감대를 실체화하는 결정적인 열쇠는 바로 뮤지컬 넘버, 즉음악이다. 뮤지컬 무대 위의 살아있는 음악을 만들기 위해 무대 아래 존재 하는 공간, 오케스트라 피트를 이끄는 김문정 음악감독의 표정과 몸짓에는 무대의 기승전결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공연이 멈춰도 무대는 영원하다  코로나 사태로 공연 일정에 상당 부분 변동이 있었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자고 일어나면 공연이 취소되거나 미루어지는 상황이에요. <모차르트> 의 10주년 기념공연이 예정보다 3일 앞당겨 종료되면서 주말 공연이 취소되었다는 것도 오늘 아침에 알았어요. 코로나 사태가 심각해지기 전까진 줄곧 바쁜 나날들을 보내왔어요. <제이미>와 <모차르트> 두 개의 작품에 참여하면서 9월 14일 오픈 예정인 <그레이트 코맷>과 방금 막 잠정 연기가 결정된 <쇼 머스트 고 온!>을 준비하고 있었고, 뮤지컬 외 개인적인 활동으로는 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