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RMATION] Vocaster One 오인페, 오디오 인터페이스 OBS Studio 설정 방법
오디오 인터페이스 (Vocaster One)
Vocaster One은 기존의 음악작업에 초점이 맞춰진 오디오 인터페이스들과 다르게 인터넷 방송을 위주로 설계된 제품으로 방송에서 많이 사용하는 장비들을 쉽게 연결하고 설정할수 있게 초점이 맞춰진 제품이다. 본 글에서는 루프백이 있는 포커스라이트 스칼렛 오디오 인터페이스. 즉, 스칼렛 4i4 3세대 이상 또는 스칼렛 4세대 전모델도 동일한 세팅이니 참고할 수 있고, 설정이 비슷하게 루프백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오디언트 EVO4, EVO8, ID4MK2, ID14MK2 등 루프백 드라이버가 제공되는 제품들도 본 글을 참고하여 세팅할 수 있다. 단, 루프백이 되더라도 루프백 드라이버가 없는 제품들, 예를 들어 야마하 AG03/06이나 스테인버그 UR22C 등은 참고하면 안된다.
마이크 (Microphone)
- 다이내믹(다이나믹) 마이크
다이내믹(또는 다이나믹) 마이크는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마이크다. 노래방의 마이크도 다이내믹 마이크로 우리가 한번쯤은 다들 사용 해 본 마이크이기도 하다. 전원 공급없 이도 작동하며 바로 마이크 앞에서만 수음을 하기 때문에 공연 환경 및 방송 등 여러가 지 환경에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콘덴서 마이크
콘덴서 마이크는 보통 녹음실에서 최상의 음질을 획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마 이크다. 48V DC(팬텀 파워라고 불리우는) 전원을 추가로 입력하여야 작동하며 다이내믹마이크 보다는 많게는 20배 넘게 감도가 높고, 따라서 매우 정확하게 음악적인 소리를 채집 할 수 있다. 다만 감도가 굉장히 좋기 때문에 작은 소리도 잘 잡아내서 방음이 잘 된 환경에서는 최고의 선택이지만 주변이 좀 시끄럽거나 게임 방송 처럼 키보드를 두드릴 경우 그 소리가 크게 녹음되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외부 노이즈에 굉장히 조용한 환경에서 사용하여야 제 성능을 낼 수 있는 마이크다.
케이블 (Cable)
마이크를 오디오 인터페이스와 연결하기 위해 XLR-XLR 케이블이 필요하다. 어떤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던 무조건 XLR-XLR 케이블로 연결해야한다.
헤드폰 (Headphone)
오디오 인터페이스에서 소리의 출력은 헤드폰 또는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방송에서는 소음도 적고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헤드폰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