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원의 음악칼럼 #01 - 뮤지션과 음악방송 그리고 실용음악

 우리나라 대중음악에 있어서 90년대는 가요시장의 황금기였다. 실용음악 전공자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가요계에 중요한 한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고 ‘노영심의 작은 음악회’, ‘이문세쇼’, ‘이소라의 프로포즈’, ‘윤도현의 러브레터’ 등 TV 음악방송도 각축전을 벌이며 정통 라이브 음악방송의 입지를 다지던 시기였다. 그리고 ‘슈퍼스타 K’, ‘나는 가수다’ 등의 서바이벌 경연 포맷이 시청자로부터 각광을 받으면서 최근까지 이어져, 한 트롯 경연 방송은 시청률이 30%에 육박하기도 했다. 현재 K-POP 시장은 글로벌화되고 있고 미디어와 콘텐츠는 다양한 형태로 확장되며 발전하고 있다.

시장은 커지고 있지만 아쉬운 부분도 있다. 얼마 전 ‘아카이브K’라는 방송을 보면서 우리나라 가요의 흐름과 한 시대를 풍미했던 선배 뮤지션들을 볼 수 있어서 너무 좋았다. 반면에 조금 안타까운 면도 느꼈는데, 빌보드에서 상을 타고 몇억 뷰가 나온다는 BTS를 위시한 아이돌 그룹의 소식은 자주 접할 수 있지만, 선배 연주자, 그 외 다른 가수분의 활동과 소식은 쉽게 눈에 띄지 않는 게 현실이다.

실용음악의 영향으로 정말 많은 뮤지션들이 등장하고 있고, 또 사라지고 있다. 연주자, 가수들은 서바이벌 경연 프로를 통해 화제성을 얻지 못하면 음악으로 생계를 이어 가기도 쉽지 않은 실정이라 너무나 안타깝다. 다행히 서바이벌 경연 프로는 계속 나오고 있다. 방식과 연출은 다르다 해도, 중심이 되는 음악의 편곡 방향이 획일화 되는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도 있겠다. 그러나 필자는 음악감독과 편곡자와 제작진의 고민과 노력을 느낄 수 있어서 너무 좋다. 계속 진화해야 한다 생각한다. 다양한 뮤지션이 설 수 있는 무대가 있는 건 너무나도 좋은 일이고 더 많이, 많이 생겼으면 한다. 새로운 기회의 창조이고, 장르이지 싶다. 물론 심금을 울리는 스토리는 필수~^^ 시청률과 화제성의 경쟁 속에서도 꿋꿋하게 정통 음악방송의 포맷을 이어 가는 방송이 있다. ‘유희열의 스케치북’. 현재도 진행형이고 올해로 12년째 이어가고 있는 방송이다.

필자는 ‘이문세쇼’ 때부터 ‘유희열의 스케치북’까지 26여 년간 하우스 밴드로 참여하고 있다. 실용음악을 전공한 뮤지션의 한 사람으로서, 지금까지 겪었던 방송, 공연 등에서의 여러 에피소드와 실용음악에 관한 이야기를 하나하나 재미있게 풀어볼까 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세계적인 동영상 소프트웨어 VEGAS Pro의 MAGIX, 사운드캣 독점 계약

[ TREND&GENRE] 1990년대 한국 대중음악사 : 다양성과 글로벌화의 시대

사운드캣, 장안종합사회복지관에 음향기기 기증